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뇌졸중 뉴스

뇌졸중 후 연하곤란에 대한 경두개직류자극치료
  • 관리자
  • 2018-01-23
  • 조회수 : 3,066

뇌졸중 후 연하곤란에 대한 경두개직류자극치료

이 연구는 경두개직류자극(tDCS)이 뇌졸중 후의 연하곤란에 대한 연하재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으며, cortical swallowing processing의 neuroplastic change와 임상적 효과와 함께 치료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중맹검 무작위 대조군 연구로 60명의 연하곤란이 있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병변의 반대쪽 대뇌반구에 anodal (1 mA, 20분) 또는 sham tDCS를 4일간 시행하였다. 치료 전과 후에 Fiberoptic Endoscopic Dysphagia Severity Scale (FEDSS)과 임상 평가로 연하기능을 측정하였다. 10명은 연하 관련 뇌 활성도를 치료 전과 후에 뇌자도(MEG)로 기록하였다. Voxel-based statistical lesion pattern analysis도 함께 시행하였다.

tDCS그룹과 sham그룹 환자들의 기본 특성과 실험 전 연하곤란정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DCS를 적용한 환자군의 FEDSS의 향상정도는 sham그룹보다 더 큰 소견을 보였다(1.3 vs 0.4 points, p< 0.0005). tDCS를 적용한 환자군에서는 병변의 반대측 연하 네트워크 활성도의 유의한 증가를 동반한 기능적 회복을 보였으나 (p< 0.05) sham 그룹에서는 보이지 않았다. 성공적 치료에 대한 다변량분석결과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은 FEDSS의 향상과 관련이 있었다(adjusted OR 0.99 [0.98-1.00], p< 0.05). 우측 insula and operculum의 병변은 tDCS의 효과가 적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p < 0.05) .

병변의 반대측 연하 운동피질에 tDCS를 적용하는 것은 연하관련 네트워크의 재구조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이며 재활치료를 빨리 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우측 대뇌반구의 insula, operculum에 발생한 뇌졸중에는 tDCS의 효과가 적을 수 있어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하다.

Suntrup-Krueger S et al, Randomized trial of transcranial DC stimulation for post-stroke dysphagia, Ann Neurol. 2018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