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ecteplase vs Alteplase in Acute Ischemic Stroke Within 4.5 Hou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Palaiodimou L., et al. Neurology. 2024;103:e209903. doi:10.1212/WNL.0000000000209903
연구배경 및 목적
Tenecteplase(TNK, 0.25mg/kg)는 급성 허혈뇌졸중에서 표준 치료제로 사용되는 Alteplase(tPA, 0.9mg/kg)의 대안 치료제로 고려되고 있다. 이 메타 분석 연구는 TNK와 TPA의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한 11개의 무작위 임상시험을 메타 분석하여 TNK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총 11개의 무작위 임상시험(RCT)에 포함된 총 7,545명 (tenecteplase 3,788명, alteplase 3,757명) 환자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 포함 RCT: AcT 2023, ATTEST 2015, ATTEST-2 2024, EXTEND-IA TNK 2018, ORIGINAL 2024, TAAIS 2012, TASTE 2024, TASTE-A 2022, TNK-S2B 2010, TRACE 2021, TRACE-2 2023
· 일차 유효성 변수는 3개월 후 우수한 기능적 예후 (mRS 0-1)
· 이차 변수는 3개월 후 양호한 기능적 예후 (mRS 0-2), 장애 감소 (mRS 1점 이상 감소), 증상성 두개내출혈(sICH), 및 사망률
연구 결과
1. 유효성:
l 3개월째 mRS 0-1 도달 비율: Tenecteplase는 Alteplase보다 높은 확률로 우수한 기능적 결과를 보임 (relative risk 1.05, 95% CI 1.01–1.10, p=0.012). Number Needed to Treat(NNT): 40명.
l 장애 감소: Tenecteplase군에서 유의하게 감소 (common OR 1.10; 95% CI 1.01–1.19; p=0.034).
2. 안전성:
증상성 두개내출혈(sICH): 두 군 간 유의미한 차이 없음 (RR 1.12; 95% CI 0.83–1.53; p=0.456).
3개월 사망률: 두 군 간 유의미한 차이 없음 (RR 0.97; 95% CI 0.82–1.15; p=0.727).
Table. Outcom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Figure 1. Excellent Functional Outcome
Figure 2. Symptomatic intracranial hemorrhage
결론 및 임상적 의의
본 메타연구는 Tenecteplase가 Alteplase보다 우수한 임상적 유효성, 안전성 측면에서는 비열등함을 입증하였다. Tenecteplase가 임상에서 효율성과 비용 측면에서 Alteplase를 대체할 수 있는 치료 옵션임을 시사하였고, Tenecteplase의 사용의 중요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향후 Tenecteplase의 장기적 효과와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추가 평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