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저널클럽

Abelacimab versus Rivaroxaba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 관리자
  • 2025-01-31
  • 조회수 : 399
Link URL : https://

Abelacimab versus Rivaroxaba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Ruff CT., et al. NEJM 2025;392:361-71.

 

Abelacimab은 활성화되지 않은 Factor XI에 결합하여 활성화를 차단하는 단일클론항체로, Factor XI의 비활성화 형태에 결합하여 활성화를 차단하고, 동시에 Factor XIa(활성화된 형태)도 억제하는 이중 작용으로 효과적인 항응고제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아직 심방세동 환자에서 Abelacimab를 DOAC와 비교한 안전성이 확립되지 않았다. AZALEA–TIMI 71 (phase 2b) 임상연구는 심방세동 및 뇌졸중 발생의 중등도 고위험 환자 1,287명을 대상으로 Abelacimab 150mg, 90mg(월 1회 피하주사) 또는 Rivaroxaban 20mg(1일 1회 경구투여)로 1:1:1 무작위 배정하여 주요출혈 또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비주요출혈 발생률을 비교하였다. 

 

중간 연령은 74세, 여성 44%였으며, 3개월 후 Factor XI 억제율은 Abelacimab 150mg에서 99%, 90mg에서 97% 감소하였다.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예상보다 높은 출혈 감소 효과로 인해 조기 중단되었으며, 주요 출혈 및 임상적으로 유의한 비주요 출혈 발생률(100인년당 사건 수)은 Abelacimab 150mg에서 3.2, 90mg에서 2.6, Rivaroxaban에서 8.4로 나타났다. 상대위험도(HR)는 Abelacimab 150mg vs. Rivaroxaban에서 0.38(95% CI, 0.24–0.60; p<0.001), Abelacimab 90mg vs. Rivaroxaban에서 0.31(95% CI, 0.19–0.51; p<0.001)로 확인되었으며, 부작용 발생률은 세 군 간 유사하였다. 또한, 주요 출혈 중 위장관 출혈 발생률이 Abelacimab 150mg과 90mg에서 각각 0.5%로 Rivaroxaban의 4.2%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두개내 출혈 발생률도 Abelacimab 150mg군에서 0%, 90mg군에서 0.2%, Rivaroxaban군에서 0.5%로 관찰되었다. 반면, 뇌졸중 또는 전신 색전증 발생률은 Abelacimab 150mg군에서 1.21/100인년, 90mg군에서 1.36/100인년, Rivaroxaban군에서 0.83/100인년으로 Abelacimab 투여군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으며, 허혈뇌졸중 발생률도 Abelacimab 150mg군 1.21/100인년, 90mg군 1.24/100인년, Rivaroxaban군 0.59/100인년으로 Abelacimab 투여군에서 더 높았다. 전체 사망률은 Abelacimab 150mg군에서 2.65/100인년, 90mg군에서 3.20/100인년, Rivaroxaban군에서 3.52/100인년으로 군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심방세동 및 뇌졸중 발생 중등도고위험 환자에서 Abelacimab은 Rivaroxaban 대비 Factor XI의 강력한 억제와 출혈 감소를 보였으나, 허혈뇌졸중 발생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현재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Abelacimab의 예방적 효과를 평가하는 LILAC-TIMI 76(NCT05712200)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첨부파일 1 202501_1_figure abstract.pdf (다운 72회) 첨부파일 다운로드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