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ed Diagnostic Criteria for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The VasCog-2-WSO Criteria
The VasCog-2-WSO Criteria Consortium. JAMA Neurology. Published online September 16, 2025. doi:10.1001/jamaneurol.2025.3242
혈관성 인지장애(VCID)는 전 세계 치매의 약 15~20%를 차지하며, 다양한 뇌혈관질환이 인지 저하에 기여한다. 그러나 지난 수십 년간 진단 기준의 불일치와 불명확한 운영적 정의 때문에 연구와 임상 적용에 제약이 있었다. 기존의 NINDS-AIREN, AHA-ASA, VasCog-1(2014), DSM-5, VICCCS-2(2018), ICD-11(2019) 등이 제안되었으나 여전히 용어 혼란, 평가 기준 불일치, 최신 영상·바이오마커 반영 부족이 문제였다. 이에 국제 전문가 그룹은 Delphi 합의 과정을 통해 VasCog-1을 개정한 VasCog-2-WSO 진단 기준을 마련하였다.
연구에는 전 세계 70명의 전문가가 초대되었고, 3라운드 온라인 설문과 대면/화상 회의를 통해 합의가 이루어졌다. 49~54명의 전문가가 최종 참여하여 사전 임상(preclinical), 경도(mild, vaMCI), 중등도~중증(major, VaD) 단계로 구분되는 VCID 진단 체계를 마련하였다. 인지영역은 DSM-5 기준에 따라 주의 및 처리속도, 집행기능, 기억, 언어, 지각-운동 기능, 사회적 인지로 정리되었으며, 초기 VCID에서 주의·집행기능 저하가 핵심적임을 강조하였다.
혈관성 병인 규명을 위해 임상·영상 모두 필요하며, (1) 뇌졸중과 인지저하의 시간적 연관성, 또는 (2) 점진적 진행 양상과 피질하 허혈성 병리 소견이 요구된다. 영상학적으로는 다발성 경색, 전략적 단일 경색(예: 시상), 다발성 lacune, 광범위한 백질 고신호(특히 Fazekas 2–3 이상), 뇌출혈 등이 포함된다. 보조적 지표로는 미세출혈, cortical superficial siderosis, cerebral amyloid angiopathy 소견이 고려될 수 있다.
새로운 특징으로는 ① preclinical/at-risk VCID (영상에서 무증상 CeVD 소견이 있으나 인지저하 없음), ② 혼합병인 명시 (예: VCID+AD, VCID+Lewy body dementia), ③ 확진 수준(probable vs possible) 구분이 포함되었다. 우울, 보행장애, 배뇨장애 등은 특이도가 낮아 제외되었고, 성격·기분 변화는 보조적 증상으로 남았다. 또한 AD·DLB 바이오마커(amyloid/tau, PET, α-synuclein 등) 는 감별·공존 병인 확인을 위해 참고할 수 있으나 VCID 자체의 확진 지표로는 사용하지 않았다.
저자들은 VasCog-2-WSO가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운영적 가이드라인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STRIVE-2 영상 기준, harmonized neuropsychological battery 등과 조화를 이루며, 연구와 진료 모두에서 국제 표준화된 VCID 진단 기준을 제공한다. 다만 여전히 바이오마커의 부족, 용어 사용의 다양성, 실제 임상 검증 필요성은 한계로 지적되었다.
결론적으로, VasCog-2-WSO는 혈관성 인지장애의 최신 국제 합의 진단 기준으로, 임상적·영상학적 근거에 기반한 체계적 접근을 제시하며, 향후 임상시험 대상자 선별, 예후 예측, 치료전략 개발에 중요한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