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뇌졸중 뉴스

Regional High Wall Shear Stress Associated With Stenosis Regression in Symptomatic Intracranial Atherosclerotic Disease
  • 관리자
  • 2020-10-30
  • 조회수 : 1,251

Regional High Wall Shear Stress Associated With Stenosis Regression in Symptomatic Intracranial Atherosclerotic Disease (증상성 두개내동맥경화에서 높은 전단응력과 협착의 완화)

두개내동맥경화에 의한 협착의 정도의 변화는 증상성 두개동맥경화의 재발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두개내동맥경화에 의한 협착의 변화는 지역적인 전단응력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50%-99%의 증상성 두개내동맥경화에 의한 뇌졸중 혹은 일과성 허혈성 발작을 보인 환자들을 모집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CT 혈관 검사를 이용하여 두개내혈관의 협착을 평가하였으며 전산 혈류 역동학 (Computational fluid dynamics)를 이용하여 혈관의 협착부위 전단응력을 평가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최적의 약물치료를 받았으며 1년 뒤 다시 CT 혈관 검사를 촬영하였다. 혈관의 협착도를 정량적으로 계산하여 10% 이상의 증가가 있는 경우를 진행 한 것으로, 10% 이상의 협착도가 감소된 경우 협착이 완화 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초기 동맥벽의 전단응력과 혈관협착의 1년째 변화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39명의 환자가 모집되었으며 6명의 환자에게서 협착이 증가하였고, 15명의 환자에게서 변화가 없었으며 18명의 환자에게서 혈관 협착이 완화되었다. 전체 두개내 동맥경화 병변에서, 혹은 근위부와 윈위부를 따로 분석했을 때에도 높은 최고치 전단응력과, 높은 전단응력을 보이는 보이는 부분이 넓은 경우 1년 후 두개내혈관 협착의 완화를 보였다.

대부분의 증상성 두개내혈관 협착은 1년 후 안정적으로 보이거나 협착이 완화 된다. 특히, 높은 전단응력은 혈관 협착이 완화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향후 혈관 벽의 전단응력과 동맥경화판의 위험도 및 추후 뇌졸중의 발생에 대한 위험도 평가가 필요하다.



(Stroke. 2020;51:3064–3073)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