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뇌졸중 뉴스

Revisiting the Proportional Recovery Model in View of the Ceiling Effect of Fugl-Meyer Assessment
  • 관리자
  • 2021-06-30
  • 조회수 : 754
Revisiting the Proportional Recovery Model in View of the Ceiling Effect of Fugl-Meyer Assessment
Lee HH et al., Stroke 2021;52:00–00. DOI: 10.1161/STROKEAHA.120.032409

뇌졸중 후 운동 기능의 비례적 회복 모델은 뇌졸중 후 3개월 또는 6개월에 상지의 최대 잠재 운동 가능 회복량의 70%를 획득한다는 이론을 주장한다(Winters C et al., 2015; Byblow WD et al., 2015; Krakauer JW and Marshall RS, 2015; Prabhakaran S et al., 2008; Stinear CM et al., 2017). 이 회복 모델은 모든 뇌졸중 환자에서 나이, 성별 및 재활 치료와 상관없이 최대 잠재 운동 가능 회복량의 70%의 회복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이 모델에서 중요한 점은 뇌졸중 후 운동 기능을 Fugl-Meyer Assessment (FMA) 사용하여 평가했다는 것이다. FMA 점수는 뇌졸중 후 상지 운동 기능을 평가하는데 천장 효과(ceiling effect)가 있고, 이러한 천장 효과는 운동 기능 손상이 적은 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상지 운동 기능 손상이 적은 환자가 FMA 상지 점수에서 만점(66점)으로 회복되는 경향은 비례 회복 모델에서 정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비례적 회복 모델과는 대조적으로 기존 연구의 데이터를 보면 초기 상지 운동 기능의 손상이 경미한 환자는 70% 이상, 거의 만점에 가까운 점수로 회복되고, 초기 상지 운동 기능의 손상이 심한 환자는 대부분 70% 미만으로 회복되었다. 특히, Byblow 등의 연구에서는 상지 재활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미한 환자를 제외하였는데, 이러한 환자들이 분석에 포함되었다면 최대 잠재 운동 가능 회복량의 70% 이상 가능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FMA 관점에서 뇌졸중 후 운동 기능의 비례적 회복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2012.8~2015.5 기간 중 Korean Stroke Cohort for Functioning and Rehabilitation (KOSCO)에 등록된 환자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뇌졸중 후 운동 기능 회복 비율은 뇌졸중 후 7일에서 6개월 사이에 FMA 상지 점수의 변화로 정의하였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FMA 상지 점수의 천장 효과에 기인하는 임상 요인을 검증하고, 성향 점수 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사용하여 비례적 회복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허혈성 뇌졸중 초발 10,636명 환자 중 849명(나이 65.4±11.9세, 여성, 320명(37.7%))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상 초기 신경학적 손상 및 뇌졸중 발병 나이의 1단위 증가는 뇌졸중 후 6개월에 FMA 상지 점수에서 만점으로 회복되는 odds ratio (초기 신경학적 손상 OR = 1.0386, 나이 OR = 0.9736)에 영향을 주었다. 성향 점수 매칭 상 상지의 초기 신경학적 손상의 차이가 뇌졸중 후 운동 기능의 비례적 회복 모델의 불일치를 초래하였다(0.92±0.20 [0–1] vs. 0.81±0.31 [0–1], P<0.001) (Figure 2). 이 연구에서 FMA 상지 점수의 천장 효과는 상지의 초기 신경학적 손상이 경미한 환자에게서 뚜렷이 나타나며 회복 비율은 이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상지의 초기 신경학적 손상에 따라 뇌졸중 후 운동 기능의 회복 비율은 차이가 있음은 뇌졸중 후 운동 기능의 비례적 회복 모델이 유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TOP



SSL